보도자료
보도설명·정정자료
더보기 +

9개국 아시아-태평양 지역 청년 산림리더들 한자리에
9개국 아시아-태평양 지역 청년 산림리더들 한자리에
- 산림청, 국내 우수 산림정책 전파 및 다양한 현장경험 지원 -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30일부터 7월 5일까지 일주일간 국제산림학생연합(준비위원단장 최서현)과 공동으로 ‘2025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학생 산림회의’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올해로 17회차를 맞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학생 산림회의는 한국에서 6년 만에 개최됐으며 한국의 6개 대학과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일본, 북마케도니아, 칠레, 멕시코 등 9개국 산림전공 대학생 64명이 참여한다.
* 국제산림학생연합 (International Forestry Students’ Association) : 국제적 교류를 통해 산림 분야 핵심 인재로의 성장을 목표로 국내외 산림 전공 대학생들이 형성한 자발적 연합체.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 간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별도의 공식 모임을 매년 국가별로 순회 개최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청년의 힘으로 기후변화에 맞추어 지속 가능한 산림을 위해 협력하자!(Empower youth, Build a sustainable tomorrow: Dive into Green cooperation!)”를 슬로건으로, 미래세대 대학생이 산림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실천하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행사 첫째 날인 30일 국민대학교에서 실시한 개회식에는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 김형진 국민대학교 교학부총장 등이 참석해 학생들에게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산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산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힘 써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산림청은 남은 일정 동안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등의 방문 프로그램과 국내 산림전문가를 초빙해 지속가능한 산림순환경영모델, 한국의 산림복원 등 다양한 강연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는 기후위기, 생태위기, 식량안보 등의 위협에서 인류의 미래를 책임지는 중대한 과제다.”면서 “한국의 산림정책과 다양한 현장경험을 배우고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산림청, 집중호우 대비 경북 영덕 산불피해지 현장점검
2025-06-30
-
산림청 소관 기타공공기관 성과관리 개선방안 논의
2025-06-26
-
산불피해 복원·복구를 위해 현장에서 머리 맞댄다
2025-06-26
-
함께 찾는 혁신의 씨앗… 산림청과 국가유산청 어벤져스 맞손
2025-06-26

산림청은 백두대간법 기본원칙에 따라 개발지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겠습니다.
산림청은 백두대간법 기본원칙에 따라 개발지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겠습니다.
- 백두대간보호지역에서 신규 노천광산은 불가합니다. -
6월 19일 KBS, SBS, MBC, YTN 등의 ‘백두대간 광산 개발에 따른 훼손 실태’ 보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보도내용>
강릉 옥계에 위치한 자병산 석회석 노천채굴광산이 보호지역으로 지정된지 20년이 지났으나, 예외조항을 인정받아 개발로 훼손되고 있다.
<설명내용>
자병산 석회석 채석지는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법)」제정(2003년, 산림청과 환경부 공동 소관 법률) 이전인 1979년 광업권이 설정되었습니다. 법률 제정 당시 부칙*에서는 백두대간에 이미 진행되고 있던 광업 등 개발권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하지 않고 광업권을 인정했으며, 해당 법 조항에 따라 현재까지 채광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 (경과조치) 법 시행 당시 승인·인가·허가 등을 얻거나 받은 경우에는 이 법의 다른 규정에도 불구하고 그 개발행위가 종료될 때까지 관계 법률의 규정에 따른다.
현행 백두대간법 제7조 따라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광산개발은 개발면적이 제한되며, 자병산과 같은 석회석 노천채광방식은 보호지역에서 신규 개발이 불가합니다.
자병산 광산은 「산지관리법」에 따른 산지일시사용허가지로 원인자 복구 원칙에 따라 채굴이 완료된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복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복구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위해 녹색연합 등 시민단체, 지역주민, 전문가, 정부기관으로 구성된 광산모니터링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산림청은 백두대간보호지역 내에서 불가피하게 광산개발로 훼손된 지역에 대해서는, 백두대간법에 따른 보호·관리 기본원칙에 따라 철저히 관리하고 최대한 복구·복원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산림청은 극한호우에 대비한 튼튼한 임도 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5-05-20
-
산사태의 주원인은 극한 강우이며, 극한 강우에 대비해 임도 시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04-23
-
목재수출업계의 피해가 없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2025-04-20
-
임도는 산불을 확산시키지 않고, 산불진화에 효과가 큰 시설입니다.
2025-04-18
주요행사
PHOTO GALLERY
사진자료실
산림청 미디어센터의
사진자료들을 한 곳에 모아
정리한 자료실입니다.
More

임상섭 산림청장이 2025년 6월 27일 수원시 장안구 수원보훈요양원을 방문해 위문품과 위문금을 전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미디어센터 동영상
미디어센터 동영상 자료실입니다.
'25년 6월 이 달의 임업인(안수예/평창 오갈피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