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설명·정정자료
더보기 +

산불진화 도운 한국...캐나다에서 돌아온 감사의 마음
산불진화 도운 한국...캐나다에서 돌아온 감사의 마음
-2023년 캐나다 산불대응 협력으로 퀘벡 산불방재센터로부터 감사패 받아-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캐나다 퀘벡 산불방재센터(SOPFEU)*로부터 2023년 캐나다 퀘벡주에 발생한 대형산불 대응 협력에 대해 감사패를 전달받았다고 17일 밝혔다.
* 산불방재센터(SOPFEU, societe de protection des forets contre le feu) : 퀘벡주 정부와 산업 계가 산불 예방·탐지 진화 목적으로 설립한 비영리기구
캐나다는 2014년 9월 산림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국가로 2023년 캐나다 퀘벡주에 대형산불이 발생한 당시 산림청은 공중진화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등 진화 전문인력 70명을 해외긴급구호대로 약 한 달간 파견했다. 이들은 산불 방화선을 구축하고, 열화상 드론을 활용해 땅속으로 번지는 산불을 조기 차단했으며 미국팀과 공조해 도시 방어작전 등을 수행했다.
감사패 전달을 위해 캐나다 퀘벡 산불방재센터의 실뱅 기타르(Sylvain Guitard) 국제협력파트너십담당관과 주한 퀘벡정부 대표부 다미앙 페레이라(Damien Pereira) 대표가 산림청을 직접 방문했다. 아울러 파견 당시 산불방지과장으로서 산불진화 해외긴급구호대를 이끌었던 김만주 산림항공본부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날 전달된 감사패는 퀘벡주를 대표하는 7개 수종의 나무로 제작돼 의미를 더했다.
김만주 산림청 산림항공본부장은 “조속한 진화를 위해 텐트에서 숙식하며 광대한 구역에서 임무를 수행했다.”고 당시를 회상하며, “대형화되는 산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불진화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캐나다는 산불 대응부터 목재이용 활성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림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중인 중요한 파트너다.”라며 “양국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공동 대응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불진화 도운 한국...캐나다에서 돌아온 감사의 마음
2025-07-17
-
산림청, 온두라스 국외산림탄소축적증진 협력 본격 추진
2025-07-17
-
산림청, 산림 내 계곡 불법 점용시설 집중단속
2025-07-17
-
산림청, 기후 및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국립난대수목원 조성
2025-07-16

산불피해지를 과학적·합리적으로 복원하고, 산불에 강한 숲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7월 13일자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에서 보도한 ‘불타는 숲의 진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보도내용>
활엽수림으로 자연 천이(遷移, succession) 중인 숲에 대해 인위적으로 소나무 숲을 확대하고 있으며, 산불피해지에 산불에 약한 침엽수를 식재하고 숲가꾸기를 하여 산불 위험을 가중하고 있음. 임도는 산불진화 효과가 없으며, 감사원 감사에서 임도의 물량 위주의 정책과 부실 시공 등이 지적됨. 산불진화 시 헬기 하강풍의 영향을 검토하지 않음. 산림관리 정책이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음
<설명내용>
숲가꾸기 사업은 일률적으로 소나무만 남기고 활엽수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산림의 상태에 따라 잘 키우고자 하는 나무를 위해 생장을 저해하는 다른 식생(풀, 나무 등)을 제거하는 사업으로 오히려 활엽수 등의 발달을 촉진하여 생물다양성 등 공익적 가치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최근 5년간 대형산불 전체 피해지에 대한 복원 면적 비율은 자연복원 65%, 조림복원 32%, 생태복원 3%입니다.
소나무숲은 송이생산 등 소득원 확보 등을 위해 산림소유자가 요구하거나 토양, 기후 등 지역여건이 적합한 경우 등에 조성합니다. 최근 5년간 대형산불 전체 피해지에 대한 활엽수로 조림복원한 비율은 85%이며, 침엽수 조림복원 비율은 소나무 11%를 포함하여 총 15%에 불과합니다.
숲가꾸기는 나무 사이의 간격을 넓혀 수관화(잎과 가지가 타는 불)를 예방하고 산불 연료물질을 제거하여 산불 확산속도와 피해강도를 줄여줍니다. 또한, 숲의 상층 밀도를 낮춰 숲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늘려 숲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고, 하층 식생 발달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유엔,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도 산불예방을 위한 숲가꾸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임도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라 임도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2023년 10월 민가 등 보호시설 주변 산사태 예방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였고, 2025년 4월 타당성 평가 시 재해안전성을 반영하는 등 제도개선을 완료하였습니다. 임도 사업방식을 단년도 사업에서 다년도 사업으로 변경하여 경쟁입찰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산림청은 헬기 하강풍을 고려하여 2013년부터 산림항공 산불진화 매뉴얼을 제정하여 산불 진화 시 헬기 하강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 ① 적정 물 투하고도(15~30m) 제시, 15m보다 낮은 고도에서는 하강풍 영향 최소화를 위해 빠른 속도로 비행 ② 투하고도는 하강풍에 의한 비산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숲가꾸기와 임도 등 산림관리 정책은 국토녹화 후 숲의 경제·생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습니다. 이에 산림청은 2000년부터 산림사업법인 제도를 신설하여 산림사업의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공개경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산림청에서는 산불피해지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복원하고, 산불에 강한 숲으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또한, 산림사업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겠습니다.
-
산불피해지 복구와 임도 사업에 대해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겠습니다.
2025-07-17
-
산림청은 백두대간법 기본원칙에 따라 개발지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겠습니다.
2025-06-20
-
산림청은 극한호우에 대비한 튼튼한 임도 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5-05-20
-
산사태의 주원인은 극한 강우이며, 극한 강우에 대비해 임도 시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04-23
주요행사
PHOTO GALLERY
사진자료실
산림청 미디어센터의
사진자료들을 한 곳에 모아
정리한 자료실입니다.
More

임상섭 산림청장이 2025년 7월 17일 오후 정부대정청사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호우 대비 대응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미디어센터 동영상
미디어센터 동영상 자료실입니다.
